본문 바로가기

IT용어

트로이 목마(Trojan horse)

 트로이 목마란 악성 루티이 숨어 있는 프로그램으로, 겉보기에는 정상적인 프로그램으로 보이지만 실행하면 악성 코드를 실행한다. 이 이름은 트로이 목마 이야기에서 따온 것으로, 겉보기에는 정상적인 프로그램으로 보이지만 실행하면 악성 코드를 실행한다. 이 이름은 트로이 목마 이야기에서 따온 것으로, 겉보기에는 평범한 목마 안에 사람이 숨어 있었다는 것에 비유한 것이다.

 

 다른 사람에게서 빌린 프로그램이 트로이 목마와 같은 역할을 하여 빌린 사람이 파일을 훔치거나 변경함으로써 프로그램의 결함을 가져오는 것. 운영 체계에 대한 일반적인 침투 유형의 하나로, 계속적인 불법 침투가 가능하도록 시스템 내에 부호를 말들어 놓음으로써 영구적인 시스템 내에 상주할 수도 있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후에 그 자취를 모두 지워버릴 수도 있다.

 

 트로이 목마는 쉽게 발견되기 힘들지만, 무거워진 CPU와 네트워크 사용으로 느려지는 현상은 나타날 수 있다.컴퓨터 바이러스나 웜과는 달리, 트로이 목마는 보통 다른 파일에 삽입되거나 스스로 전파되지 않는다.

 

목적과 사용 분류]

 파괴적 목적

  • 시스템 충돌
  • 수정이나 파일 삭제
  • 데이터 오염
  • 모든 내용 삭제시키는 디스크 포맷
  • 네트워크로 악성코드 전파
  • 사용자의 행동 감시와 민감한 정보 접근

데이터 절도

  • 기밀정보
  • 사용자의 비밀번호나 체크카드 정보
  • 개인정보, 개인신용 정보
  • 영상정보

스파잉,감시 또는 스토킹

  • 키로깅
  • 사용자의 웹캠 보기
  • 사용자의 컴퓨터 원격 관리

출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TTA정보통신용어사전

 

TTA정보통신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정보통신 기술 발전과 타 분야와의 기술 융합에 따라 무수히 생성되는 정보통신용어를 해설하고 표준화하여, 전문가뿐만 아니라 비전문가들도 올바르게 활용할 수

terms.tta.or.kr

 

'IT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버 보안(Cyber Security)  (0) 2024.03.16
디도스(DDoS)공격  (0) 2024.03.10
스파이웨어(SpyWare)  (0) 2024.03.10
컴퓨터 바이러스  (0) 2024.03.10
크롤링(Crawling)  (0) 2024.03.09